교육철학이란?교육 철학은 교육을 그 전체적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며, 교육 목적과 정책에 대한 우리의 선택을 안내할 일반적 개념에 의해 교육을 해석하고자 하는 것.
형이상학과 교육형이상학은 교육 이론과 실제 영역에서 과학적 대답이 나올 수 없는 질문에 대한 토론을 일으킴EX)인간 생활은 어떤 목적을 갖는가 그렇지 않는가
관념론자의 형이상학과 교육
= 교육은 인간이 인간의 지적, 정신적, 의지적 환경 속에서 현시되는 신을 향하여 신체적, 정신적으로 발달하고, 자유롭고 의식있는 존재로 적응해 가는 영원한 과정실재론자의 형이상학과 교육철학적 실재론의 기본 원리 = 물질이 궁극적인 실재
합리적 실재론
자연적 또는 과학적 실재론회의적이고 경험적인 특성을 띤 자연적 실재론은, 철학은 과학의 객관성과 엄밀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재론자 = 학교의 임무는 학생들로 하여금 주변의 객관적 세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교재의 핵심을 전달하는 데 있다.가톨릭 실재론자 = 우주의 질서와 조화는 신의 창조의 산물이므로, 인간은 자연을 신의 창조물로서 배워야 한다.고전적 실재론자 = 교육의 목적은 지적으로 잘 균형잡힌 인간이 되도록 하는 것
프래그머티스트의 형이상학과 교육우리의 감각으로 경험하는 것만을 알 수 있다.
지식론과 교육지식은 교사들의 업무에 있어 중요 자산이 된다. 그러므로 교사가 지식의 궁극적 본질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계시적 지식
직관적 지식
이성적 지식
경험적 지식
권위적 지식
관념론자의 인식론과 교육
실재론자의 인식론과 교육
프래그머티스트의 인식론과 교육
= 어린이는 호기심을 느낀 것으로부터 배워야 하고, 반면에 교사는 그것을 충분히 보상할 교과목에 대한 호기심을 어린이에게 자극시켜야 한다. <관념론>
->플라톤,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쯔, 버클리, 칸트, 헤겔, 혼(Horne), 젠틸(Gentile), 나토르프(Natorp)
: 사물의 본질은 절대정신, 진리(지식)=이데아(본질)를 나타내는 것, 정합설, 인간은 내부에 진리의 싹을 지닌 윤리적․도덕적 존재, 교과의 논리성/체계성/위계성
<실재론>
->아리스토텔레스(고전적 실재론), 토마스 아퀴나스(종교적 실재론), 베이컨, 로크, 코메니우스(과학적 실재론)
: 지식은 사물을 지배하는 법칙 설명, 대응설, 자연적 탐구의 중시, 지적교육 중시, 교과는 보편적 지식으로 구성, 교과의 독립성 유지
<자연주의> ->루소, 프뢰벨, 페스탈로치, 헤르바르트
: 아동의 천부적인 잠재력과 개성이 자연의 법칙에 따라 자연스럽게 실현되도록 도와주는 것이 목적, 직관
<실용주의> ->피어스, 제임스, 듀이
: 지식의 현실적 유용성, 지식의 상대성, 경험중심, 생활중심, 아동중심, 전인적 경험 중시, 민주주의 중시
<진보주의> ->듀이, 킬패트릭, 파커
: 아동의 자연스러운 발달, 흥미와 욕구 존중, 아동에 대한 전인적 이해, 안내자로서의 교사, 아동의 신체적 건강, 가정과 학교의 유기적 협력, 학교의 개혁적 실험성, 교육은 생활 그 자체, 문제해결위주의 학습, 경쟁보다는 형동 중시, 민주주의 중시
1.듀이(Dewey) : 일원론적 세계관, 기능적 진리관, 진리의 상대성, 과학적으로 검증된 지식, 지성, 실험주의, 과학정신 강조, 경험의 사회성, 경험의 개조, 성장, 미숙성, 가소성, 탐구, 흥미, 교육 그 자체로서의 목적, 계속적 성장을 돕는 것, 학교는 사회적 기관, 사회유지와 개조의 수단, 교육은 사회진보와 개혁의 근본적인 방법, 원초적 무의식적 통합성에서 부화해 나오도록 교육과정 편성
2.킬패트릭(Kilpatrick) : 구안법(프로젝트법), 문제해결학습 발전, 프로젝트의 본질은 전심으로 다하는 유목적적활동
<본질주의> ->배글리, 모리슨, 브리드, 브리그스
: 훈련과 노력 중시, 교사의 교육주도권 강조, 교재내용의 철저한 이수 중요, 전통적 정신훈련 방법의 회복, 기본적 지식 교육에 중점, 주지교과 중시
1.배글리(Bagley) : 사회적 경험/문화유산의 핵심을 아동에게 전달하는 것이 목적, 교과중심교육, 흥미보다 노력 강조, 교사 중심 교육, 기초학습 강조
<항존주의> ->허친스, 아들러, 마리땡, 커닝함
: 교육의 본질은 불변, 이성의 발달에 초점, 진리에의 적응, 이상적 삶에 대한 준비, 기본교과의 철저한 이수, 고전독서 교육, 실용주의의 물질주의/과학주의 배격
<재건주의> ->브라멜드, 카운츠, 러그, 스탠리
: 사회적 자아실현, 교육은 사회개혁 수단, 사회괴학 중시, 학생이 의문을 제기하도록 권장
<실증주의(고전적 실증주의)> ->콩트, 밀, 스펜서, 뒤르껭
: 경험주의/객관주의, 과학주의, 사회학주의, 행동주의, 양적 교육연구, 체제접근
<분석철학(신실증주의)> ->러셀, 비트겐슈타인, 슐리히, 오코너, 솔티스, 하디, 피터스
: 경험과 노리에 의한 실증, 언어의 의미 분석과 명료화, 독자 학문으로서의 교육철학 성립에 기여
1.피터스(Peters) : 교육은 성년식, 지식의 형식, 문명화된 삶의 양식
<현상학> ->훗설, 하이데거, 샤르트르, 메를르 퐁티, 볼노브, 부버
: 근대철학의 이원록적 세계관 부정, 인간의식의 가치 지향성, 현상, 앎은 인간의 내재적인 의미부여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
1.하이데거(Heidegger) : 현존재, 사실성, 실존성, 전락성, 현상=사물이 인간의 가치지향성에 의해 재구성된 채 의식에 나타나는 것
2.메를르 퐁티(Ponty) : 신체(몸이) 지각의 주체, 신체를 통해 전(前)반성적 개념 획득, 유아기 생활세계 중시, 초등교육은 구체적 경험 위주로 편성, 가르침은 교사와 아동의 대화
<해석학> ->딜타이, 하이데거, 가다머, 하버마스, 리쾨르
: 작품(텍스트)의 의미를 탐구하고 그 가치를 규명하려는 방법론에서 출발하여 언어, 의사소통, 대화에까지 관심
1.딜타이(Dilthey) : 감정이
2.하이데거(Heidegger) : 선이해
3.가다머(Gadamer) : 전통
4.리쾨르(Ricoeur) : 숨겨진 허위의식
<실존주의> ->볼노브, 부버, 하이데거, 키에르케고르, 야스퍼스, 샤르트르
: 객관적인 불변의 본질 부정, 인간은 자유의지를 지닌 존재, 인간의 선택과 책임 중시, 개별적 자아가 진리의 주체
1.부버(Buber) : 독자적이고 자유로운 인격의 형성과 성장을 돕는 것, 만남을 통한 교육, ‘나-너’의 인격적 대화의 관계, 전인적 관계
2.볼노브(Bollnow) : 인간의 점진적 성장 부정, 비연속적인 성장 주장
3.샤르트르(Sartre) :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
<비판이론(신마르크스주의)>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 마르쿠제, 하버마스, 프레이리, 애플, 바우어, 지로
: 자본주의 체제 비판, 거시적 접근, 경제결종론 비판, 실증주의적 입장 비판, 이론가 실천의 결합, 인간의 해방 추구, 과학적 접근 거부, 계몽, 해방, 마르크스주의 이론 수정, 도구적 합리성 비판
1.하버마스(Habermas) : 의사소통론, 실증주의 비판, 목적합리적 행위와 의사소통적 행위 구별, 과학의 이데올로기화, 생활세계의 식민지화, 대중의 탈정치화와 근대 민주주의의 위기, 의사소통 합리성을 통한 극복
2.프레이리(Freie) : 인간이 자신과 자신의 세계를 새롭게 보고 그것을 변형, 보다 충만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육, 비판의식 고양, 은행저축식 교육 지양, 문제제기식 교육 지향, 문제상황 중심의 교과과정, 제도화된 가치 타파,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의식 조직적 계발
<구조주의> ->피아제, 콜버거, 촘스키, 브루너, 알튀세, 부르디외, 롤랑 바르트
: 주체는 구조의 산물, 보편적 구조가 존재
1.피아제(Piajet) : 스키마, 인지구조, 동화, 조적, 평성, 발생학적 구조주의
2.콜버거(Kohlberg) : 도덕성 발달이론, 도덕적 판단능력의 단계적 발달
3.촘스키(Chomsky) : 인간의 정신은 여러 하부구조로 조직된 ‘구조’, 유전적으로 프로그램화된 언어규칙, 적절한 환경적 자극->자체적 발달
<포스트모더니즘> ->리오카르, 라깡, 데리다, 푸코
: 반정초주의, 다원주의, 소서사, 국지이론, 이론과 실제의 결합, 인간이성의 절대성과 객관성 부정, 인간의 유한성과 다양성 인정, 지식의 보편성과 객관성 부정, 학습자 중심교육, 평생교육, 전인적 교육, 공동체에 관심, 지식과 신념체계의 비판적 파악
1.푸코(Foucault) : 훈육론, 지식-권력관계, 권력과 지식은 공범관계, 권력은 끊임없이 이데올로기/지식 생산, 규육적 권력, 교육=훈육(규율), 관찰, 규범적 판단, 파놉티콘(panopticon), 시험(검사), 인간을 규격화
<홀리즘>
: 생명의 전체적 조화 강조, 생태학적 사고, 전체적 관계망, 전인적 발달에 관심, 관계성 및 공동체 의식에 관심, 삶의 이해와 의미 탐구 강조, 삶의 맥락에 대한 비판적 접근, 영적 지식의 강조